코딩테스트

[백준 1920번][Python] 수 찾기 (binary search/이진탐색)

도도o 2024. 9. 3. 19:26

 

문제

N개의 정수 A[1], A[2], …, A[N]이 주어져 있을 때,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[1], A[2], …, A[N]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M(1 ≤ M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, 이 수들이 A안에 존재하는지 알아내면 된다. 모든 정수의 범위는 -231 보다 크거나 같고 231보다 작다.

출력

M개의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존재하면 1을,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.

 

 

 

제출한 답안

시도1)

탐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set 을 이용했다.

n = int(input())
A = se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 = int(input())
B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
for b in B:
    print(1) if b in A else print(0)

 

결과는 맞았고, 144ms가 소요되었다.

 

 

시도2)

if 문을 간략히 바꿔보았지만, 시간이 152ms로 늘어났다.

n = int(input())
A = se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 = int(input())
B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
for b in B:
    print((b in A) * 1, end=" ")

 

아마도 *1 연산 때문일 것 같다.

 

 

다른 사람 풀이 적용

1. 정수형으로 바꾸지 않고 직접 비교를 한 경우

즉, map을 이용하지 않고, 문자형인 상태로 비교하였다.

 

2. n과 m은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, 굳이 변수에 저장하지 않는다.

 

input()
A = set(input().split())
input()
B = input().split()

for b in B:
    print(1) if b in A else print(0)